반응형
알부민주사 효능 및 사용법 | 저알부민혈증 치료 및 혈액량 보충을 위한 정맥투여 단백질 제제
알부민주사(Human Albumin Injection)는 인체 혈장에서 추출한 고농도 단백질 제제로, 저알부민혈증, 저혈량 상태, 화상, 간질환 등으로 인해 혈장 삼투압 유지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정맥 투여 약물입니다. 혈액 내 단백질 농도를 보충하고 혈관 내 수분을 유지해 전신 순환을 안정화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1. 알부민주사란?
알부민은 혈장 내 가장 풍부한 단백질로, 혈액 삼투압 유지, 약물 및 호르몬 운반, 혈관 내 수분 보유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알부민주사는 인체 유래 알부민을 정제하여 주사 형태로 제공되며, 병원에서는 다양한 응급상황 및 만성 질환 상태에서 사용됩니다.
2. 주요 적응증 및 효과 ✅
- 저알부민혈증(혈중 알부민 농도 저하)
- 대량 출혈 또는 수술 후 저혈량 상태 보정
- 간경변, 복수 환자의 부종 감소 및 혈류 안정화
- 화상, 패혈증, 신증후군 등에서 혈관 내 수분 유지를 위한 혈장 대체제
- 수술 또는 외상 후 쇼크 상태에서 혈압 유지 목적
3. 작용 기전 🌿
- 혈관 내 콜로이드 삼투압을 증가시켜 수분이 혈관 내로 다시 이동 → 조직 부종 완화
- 혈액량 증가로 심박출량 유지 및 전신 혈류 개선
- 간경변증이나 복수 환자의 복수 배액 후 혈류 안정화 및 신장 보호 효과
4. 투여 방법 및 용량 💉
- 정맥 점적 주사(IV infusion) 형태로 투여
- 제품에 따라 5%, 20%, 25% 농도로 나뉘며, 용량은 환자의 체중, 증상 정도에 따라 결정
- 예) 5% 알부민: 250~500mL/회, 20% 알부민: 100mL/회
- 투여 속도는 30~60분 이상 서서히 주입
💡 탈수,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경우 병합 수액 치료 병행 필요
5. 사용 시 주의사항 ⚠️
- 과민 반응 병력자(특히 인간 혈장 성분)에겐 투여 금지
- 순환기 질환, 폐부종, 심부전 환자에게는 저용량 천천히 투여 필요
- 알부민 주입 후 혈압 상승, 호흡곤란, 부종 증가 등의 증상 주의
- 정맥 주사 중 투여 속도 과도 시 심혈관 부담 증가 가능성 있음
6. 대표적인 부작용 🚨
- 발열, 오한, 피부 발진 등 알레르기 반응
- 저혈압 또는 고혈압 (투여 속도 또는 용량 과다 시)
- 호흡곤란, 폐부종 (과량 주입 시)
- 드물게 간염, HIV 등의 감염성 질환 우려 있으나 정제 과정을 통해 매우 낮음
※ 이상 반응 시 즉시 주입 중단 후 의료진 조치 필요
7. 유사 수액제 비교 🆚
제품명 | 주성분 | 특징 | 주요 사용 상황 |
---|---|---|---|
알부민주사 | 인간 알부민 | 삼투압 유지, 혈액량 증가 | 저알부민혈증, 복수, 쇼크, 화상 등 |
헤스파놀 | 합성 콜로이드 | 저렴하지만 과민 반응 위험 있음 | 수술 후 혈장 보충, 대체 수액 |
노말살린 | 생리식염수 | 수분 공급, 혈압 유지는 제한적 | 탈수 상태, 단순 수액 요법 |
8. 요약 정리 ✍️
- 알부민주사는 혈장 내 단백질을 보충하고 혈액 삼투압을 회복시키는 정맥주사 약물
- 저알부민혈증, 화상, 복수, 쇼크 등에서 혈액량 및 혈류 유지를 위해 사용
- 농도와 용량은 상태에 따라 조절하며, 과량 주입 시 순환기 부담 주의
- 수술 후 회복, 간경변 치료 보조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활용 가능
혈액 속 단백질 농도는 생명을 지키는 기초 체력입니다. 필요 시 알부민주사로 혈류 안정과 회복을 도와주세요.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펩티벤주 효능 및 사용법 | 중증 질환 환자의 영양 보충과 간 기능 회복을 위한 아미노산 주사제 (0) | 2025.04.18 |
---|---|
부스트릭스 효능 및 접종 정보 |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예방 3가 혼합백신 (0) | 2025.04.18 |
히스토불린 효능 및 사용법 | 알레르기 체질 개선과 면역력 조절을 돕는 면역요법 주사제 (0) | 2025.04.18 |
보트로파제 효능 및 사용법 | 혈액 순환 개선과 항혈전 작용을 돕는 혈관 질환 치료제 (0) | 2025.04.17 |
닥터라민주 효능 및 사용법 | 수술 후 회복과 영양 공급을 위한 고단백 아미노산 주사제 (0) | 2025.04.17 |